맨위로가기

조인성 (야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인성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신일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를 거쳐 1998년 LG 트윈스에 입단했으며, 뛰어난 도루 저지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주전 포수로 자리 잡았다. 2010년에는 데뷔 13년 만에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한화 이글스를 거쳐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으며, 은퇴 후에는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 코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손민한
    손민한은 롯데 자이언츠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MVP를 수상하고 WBC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인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코치이다.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백재호
    백재호는 신일고, 동국대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인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현대 유니콘스,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로 활동했고, 한화 이글스에서 통산 타율 .245, 68홈런을 기록,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서울수유초등학교 동문 - 황태순
    황태순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치평론가로, 여러 정당에서 당직을 맡고 무소속 국회의원 보좌관을 역임했으나 잦은 당적 변경으로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 서울수유초등학교 동문 - 현재윤
    현재윤은 삼성 라이온즈와 LG 트윈스에서 포수로 활동했던 KBO 리그 야구 선수로, 병역 비리 사건과 부상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2013년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위원과 코치로 활동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한이
    박한이는 KBO 리그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통산 안타 3위, 득점 4위, 출전 경기 4위를 기록하고 골든글러브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 삼성 라이온즈 코치이다.
조인성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야구 선수 이미지 없음
야구 선수
이름조인성
한자 표기趙寅成
로마자 표기Jo Inseong
출생일1975년 5월 25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신장183cm
체중90kg
포지션포수/배터리 코치
투구/타석우투/우타
선수 경력
프로 입단 연도1998년
드래프트 순위1998년 1차 지명 (LG 트윈스)
데뷔KBO / 1998년 4월 15일, 청주야구장 대 한화 이글스
마지막 경기KBO / 2017년 5월 23일,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대 KIA 타이거즈
소속 구단LG 트윈스 (1998년–2011년)
SK 와이번스 (2012년–2014년)
한화 이글스 (2014년–2017년)
등번호75
통계
타율.252
홈런186
타점801
코치 경력
코치두산 베어스 배터리코치 (2018년~2020년)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코치 (2019년)
LG 트윈스 2군 배터리코치 (2021년)
LG 트윈스 배터리코치 (2022년)
LG 트윈스 잔류군 총괄/배터리코치 (2023년)
두산 베어스 잔류군/재활군 코치 (2024년~)
국가대표 경력
대표팀대한민국
올림픽199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6년
아시안 게임1998년, 2006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1997년, 2003년
유니버시아드 (야구)1995년
수상
수상 내역2010년 KBO 리그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메달 기록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6 샌디에이고 동메달 (단체전)
아시안 게임1998 방콕 금메달 (단체전)
2006 도하 동메달 (단체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1997 타이베이 금메달 (단체전)
2003 삿포로 동메달 (단체전)
유니버시아드1995 후쿠오카 은메달 (단체전)

2. 선수 시절

(내용 없음)

2. 1. 아마추어 시절

신일고등학교 2학년이던 1993년 11월, 대한민국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일본 오키나와현에서 열린 일본 주니어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야구 경기에 참가했다.

1994년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대학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대학 야구 최고의 포수 유망주로 평가받으며, 대학 4년 동안 국제 대회에 꾸준히 참가했다.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 4학년 때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올림픽에서 그는 스기우라 마사노리를 상대로 2점 홈런을 포함해 2개의 홈런을 기록했고, 타율 0.263, 5타점을 기록했다.

연도개최지대회개인 기록
1995일본유니버시아드은메달.333 타율 (3타수 1안타)
1995일본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은메달
1995쿠바인터컨티넨탈컵4위.000 타율 (8타수 무안타), 1 타점
1996미국올림픽8위.263 타율 (19타수 5안타), 2 홈런, 5 타점, 3 득점
1997대만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금메달


2. 2. LG 트윈스 시절

1998년 LG 트윈스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3] 루키 시즌에는 백업 포수로 84경기에 출전해 타율 0.269(134타수 36안타)를 기록했다. 데뷔 첫 시즌 후인 1998년 12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방콕 아시안 게임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로써 박찬호, 서재응, 김병현 등과 함께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1999 시즌 후 주전 포수였던 김동수가 FA 자격을 얻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자, 2000년부터 팀의 주전 포수 자리를 맡았다. 2000년 시즌에는 타율 0.225, 5홈런으로 타격에서는 부진했으나, 리그에서 가장 높은 도루 저지율을 기록하는 등 수비에서는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다.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도루 저지 능력은 그의 큰 장점이었으며, 2루 도루 주자를 앉은 자세에서 잡아낼 정도의 강견으로 평가받았다. 펀치력 있는 타격 또한 장점으로 꼽혔다.

2003년에는 개인 한 시즌 최다인 19홈런을 기록하고 타율 0.257, 58타점을 올렸으며, 주전 포수로 132경기에 출전했다. 2006년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07년에는 타율(.282), 안타(118개), 타점(73개), 득점(44개), 2루타(24개) 등 다수 부문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며 가장 생산적인 시즌을 보냈다.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LG 트윈스와 최대 4년 34억에 계약하며 잔류했다.[3] 그러나 FA 계약 이후에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08년에는 팀이 투수진 붕괴와 타격 부진으로 최하위에 머무는 동안 부상과 부진을 겪었고, 베테랑 포수 김정민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거나 2군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또한, 투수 리드 면에서 바깥쪽 공 요구가 많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09년 8월 6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 중에는 선발 투수 심수창과 마운드에서 언쟁을 벌이는 모습을 보여 벌금 징계와 함께 2군으로 강등되었고, 시즌이 끝날 때까지 1군에 복귀하지 못했다.[3]

박종훈 감독 부임 후 타격 능력이 향상되며 2010년에 부활했다. 4월 24일에는 역대 56번째 통산 500타점을 기록했고, 7월 15일 KIA전에서는 안영명을 상대로 3점 홈런을 쳐 역대 62번째 통산 1500루타를 달성했다. 9월 1일에는 KBO 리그 포수 최초로 단일 시즌 100타점 이상을 기록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 해에 개인 통산 처음으로 전 경기에 출장하며 타율 0.317, 28홈런(팀 내 1위), 107타점으로 개인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 시즌 후 박경완을 2표 차로 제치고[4] 데뷔 13년 만에 첫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5]

2. 3. SK 와이번스 시절

2011년에 두 번째 FA를 선언했으나 원 소속팀 LG 트윈스와 이견이 커 협상이 결렬되었다. 결국 2011년 11월 22일, SK 와이번스와 3년간 최대 19억에 FA 계약을 체결하며 이적했다. 그의 이적에 따른 보상 선수로 LG 트윈스는 투수 임정우를 지명했다. 이적 후 홍성흔처럼 포수가 아닌 지명타자로 포지션을 변경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었으나, 당시 SK 와이번스 감독이었던 이만수는 그를 포수로 기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적 첫 해인 2012년 시즌, 기존 주전 포수였던 박경완과 백업 포수 정상호가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하면서 개막전부터 선발 포수로 출전 기회를 잡았다. 박경완의 부상 공백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 결과 2002년 이후 10년 만에 포스트 시즌 무대와 한국시리즈를 경험하게 되었다. 하지만 2012년 한국시리즈에서는 삼성 라이온즈이승엽에게 홈런을 허용했는데, 이는 10년 전인 2002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이승엽에게 끝내기 홈런을 맞았던 상황과 유사했다.[6]

2. 4. 한화 이글스 시절

2014년 6월 3일이대수, 김강석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김태형 감독의 부름을 받아 2018년부터 두산 베어스의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2021년부터는 친정팀인 LG 트윈스의 2군 배터리코치로 자리를 옮겼으며, 2024년에는 다시 두산 베어스의 코치로 복귀했다.

4. 논란

선수 시절, 투수 심수창과 경기 중 마운드에서 언쟁을 벌여 논란이 된 바 있다.

4. 1. 심수창과의 불화

2009년 8월 6일 KIA와의 경기 도중, 선발 투수였던 심수창과 마운드 위에서 공개적으로 말다툼을 벌이는 모습이 TV 중계를 통해 그대로 노출되었다.[8] 팬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벌어진 이례적인 상황이었다. 이 사건으로 조인성과 심수창은 구단으로부터 벌금형 등 내부 징계를 받았고, 함께 2군으로 강등되었다.[9] 당시 LG 트윈스 감독이었던 김재박은 조인성의 백업 포수였던 김태군을 주전으로 기용하고, 박도현을 새로운 백업 포수로 올렸다.[9] 김재박 감독은 남은 시즌 동안 조인성을 1군에 올리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조인성은 사실상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10] 결국 그는 시즌이 끝날 때까지 1군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5. 별명


  • '''잉금님''': '잉'여 + '금'강불괴를 합쳐서 만들어진 별명이다.
  • '''칰금님''':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후 '잉금님' 별명과 결합되어 붙여진 별명이다.
  • '''조바깥''', '''바깥 양반''': 포수로서 바깥쪽 공을 많이 요구하는 경향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6. 수상

7. 통산 기록

연도팀명타율경기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도루도실볼넷사구삼진병살실책
1998LG0.2698413410368021500302232
19990.2545614223366052200612741
20000.225108227195151533211645968
20010.253821861947100526121242743
20020.26812436236972129483014582119
20030.2571324284311020219580115867178
20040.2541293864098160849253636396
20050.224852012245110634001443422
20060.245112326378018010380128030115
20070.282124419441182401373113046187
20080.22710233025751811049001717664
20090.21495266355710114360228153107
20100.31713345769145241281072041383193
20110.2671173904610414215592144370105
2012SK0.2711042843277130940011626058
20130.21388207164410072901726542
2014한화0.22675164163770734001424055
20150.23210627633641101144001668956
20160.168761371023203700213824
20170.13816291400000000912
통산20시즌0.25219485351576134824810186801131635954105514297


8. 등번호


  • 선수 시절: '''44''' (1998년 ~ 2017년)
  • 코치 시절: '''75''' (2018년 ~ 2023년), '''74''' (2024년 ~ 현재)

참조

[1] 뉴스 https://www.yna.co.k[...]
[2] 뉴스 https://www.yna.co.k[...]
[3] 뉴스 조인성이 문제였나 https://news.naver.c[...] 스포츠춘추 2008-06-17
[4] 뉴스 포수 GG 박경완, 역대 초박빙 타이 2표차 아쉬운 고배 http://sports.news.n[...] OSEN 2010-12-11
[5] 뉴스 데뷔 13년 만에 첫 골든 글러브 조인성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12-24
[6] 뉴스 '결승포' 이승엽, 조인성에 '10년 전 악몽' 재현 http://sports.news.n[...] 조이뉴스24
[7] 뉴스 http://star.ohmynews[...]
[8] 뉴스 LG 심수창-조인성 말싸움 "이러니 7연패하지" https://news.naver.c[...] 스포츠경향
[9] 뉴스 LG 트윈스, 선수단 대폭 물갈이 https://news.naver.c[...] OSEN
[10] 뉴스 LG 내분 사태 일벌백계..."조인성-심수창 올 시즌 1군 복귀 없다" https://news.naver.c[...] 스포츠조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